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가 최근 노조가 지하철 총파업을 선언해 고심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노조와의 지속적인 교류에도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고 결국 경고파업까지 진행된 탓이다.
노조는 일손 부족의 우려를 명분으로 사측의 인력 감축 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회사가 3년 연속 적자인 데다, 일부 노조 간부들이 타임오프 제도를 악용해 일하지 않고도 월급을 타가는 등 그간 불법 행위를 저질렀던 것을 감안하면 파업의 명분은 당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따른다.
파업이 현실화되면 교통길 시민들의 불편함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명분 없는 파업 중단을 촉구하며 강경 대응도 함께 예고한 상태다.
아울러 공사 내 제3노조도 정치적 행위라며 비판 성명을 냈으며, 고용노동부 장관도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비판 수위가 전방위적으로 높아지면서, 2차 파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서울지하철 노조 2차 파업 예고
노조 측은 “채용 절차와 교육 기간 등을 고려해 통상 9월쯤 채용 공고가 돼야 정년퇴직 인력에 대한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데 사측은 노사 합의한 하반기 신규 채용을 거부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 근거로 지난해 11월 노사가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2023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신규채용하기로 합의’ 한 것으로 꼽았다.
이 밖에도 노조는 차량관리소 업무 자회사 위탁, 1∼4호선 구내 운전 업무와 특수차 운전 자회사 이관, 궤도 유지·보수 외주 위탁 등 ‘안전 업무의 외주화’에 반대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명 위원장은 “공사가 진정성 있게 대책을 내놓으라는 절실한 심정으로 이틀간 경고 파업을 했지만 여전히 대안이나 대책은 찾아볼 수 없다”며 “서울시와 사측이 대화와 협상보다 대결과 제압을 선택한다면 부득이 11월 22일부터 전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우리는 언제든지 모두의 안전을 위해 교섭할 준비가 돼 있다”며 “서울시와 공사의 진지한 입장 변화를 거듭 촉구하며 의미 있는 진전을 기대한다”라고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이번 2차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공사 3개 노조 가운데 가장 많은 조합원이 있는 민주노총 서울교통공사노조만 참여하게 된다. 서울교통공사 전체 임직원은 1만 7000명이며 3개의 노조가 있는 복수노조 사업장이다.
'오늘의 핵심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탄소년단 정국, 英 오피셜 차트서 2주 연속 차트인 순항중 (45) | 2023.11.18 |
---|---|
김무성 “보수 분열 모든 원인은 잘못된 공천”약속 (41) | 2023.11.18 |
'7인의탈출' 김일우, "내 친아들 이준, 엄기준에게 희생당한 피해자"시즌1 종영 (44) | 2023.11.18 |
헤이즈, 연말 단독콘서트 티켓 오픈 따뜻한 겨울 감성 예고 (42) | 2023.11.18 |
마약 공급지 되어버린 경기도… 대마·양귀비 ‘몰래 경작’ (42) | 202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