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서교공) 노‧사가 21일 임금‧단체협상을 타결했다. 이에 따라 22일로 예고됐던 파업은 철회됐고, 서울 지하철은 정상 운행된다.

이날 오후 서교공과 양대노조(민주노총‧한국노총)로 구성된 ‘연합교섭단’은 서울 성동구 본사에서 교섭에 나선 끝에 극적 합의에 도달했다. 오후 4시에 시작된 교섭은 오후 9시 25분쯤 끝났다.
안전 인력 충원에 노사 함께 협의‧추진
노‧사 교섭의 핵심 쟁점은 인력 감축이다. 서교공은 극심한 재정난(누적적자 18조 4000억 원)을 극복하기 위해선 2026년까지 인력 감축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방식은 현 인원 감축이 아닌, 신규 채용 규모 축소와 외주화 등으로 계획했다. 반면 노조는 올해 정년퇴직(276명)과 ‘2인 1조’ 보장(232명), 수탁업무 인력(360명) 등을 고려하면 860명 이상을 더 뽑아야 한다고 맞섰다. 양측이 팽팽히 맞서면서 지난 9~10일 1차 파업이 진행됐다. 이날 노‧사는 안전 인력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선 인력을 충원하기로 협의‧추진해 나가자고 합의했다. 아울러 서교공을 지속할 수 있게 하려면 인력 조정 등 경영 합리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와 관련해 노‧사가 대화를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인건비와 관련해선 노‧사가 함께 서울시에 지원해 달라고 건의하기로 했다. 서울시 감사로 문제가 됐던 근로시간 면제(타임오프제) 등은 합리적인 운영 방안을 노‧사가 함께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또 직원 근무 환경 개선과 지하 공간 작업자 건강 보호 방안도 함께 찾기로 했다.

노조 “안전 공백 없도록 하는 데 의견 접근”
서교공과 교섭을 맡은 연합교섭단은 제1 노조인 서교공노조(민주노총 소속)와 제2 노조인 통합노조(한국노총)로 구성돼 있다. 최종 합의에 도달한 뒤 명순필 서교공노조 위원장과 이양섭 통합노조 위원장은 취재진에게 “안전 공백이 없도록 하겠다는 것에 (노‧사가) 의견이 접근해 합의에 도달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경영 합리화에 대해서는 노‧사 간 논의를 전제로 지속해서 대화하기로 했다”며 “안전 공백 없이 시민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문구 하나에도 이견 오가…지난했던 교섭
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만큼 이날 교섭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합의안에 담길 문구를 놓고도 이견을 보였다.
교섭은 오후 4시에 시작된 지 16분 만에 정회됐다. 오후 5시 20분쯤 재개됐지만, 11분 만에 다시 정회됐다. 그로부터 3시간 30분이 흐른 오후 9시가 돼서야 다시 교섭이 시작됐다. 이후 25분 뒤인 9시 25분쯤 노‧사가 합의안에 서명했다.
하지만 서교공이 당초 2026년까지 정원 2212명을 감축해야 한다고 한 만큼 이번 합의는 미봉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누적된 서교공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원 감축이 필수적인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노조 관계자는 “앞으로 계속 논의하겠다”라고 말했다.
'오늘의 핵심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톡서도 'AI 프로필' 만든다. (34) | 2023.11.24 |
---|---|
연기금, 셀트리온·은행주 팔고 로봇·2차전지 담았다. (46) | 2023.11.22 |
황의조, 성관계 불법촬영 리스크…클린스만호에 미칠 파장은?합의주장 (70) | 2023.11.22 |
뉴욕증시, 기술주 강세장…한영 '다우닝 합의' (41) | 2023.11.21 |
현직 판사, '사건 브로커' 의혹 검찰 수사 선상에 올랐다. (43)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