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둔곡 바이오 기업, 22일 얀 센 애 항암제 기술이전 계약
ADC 접목 항암제 LCB84, 순매출에 따른 로열티 별도
누적 기술이전 실적 13건에 8조 7000억 원 넘어서

"그저 가능성 하나 믿고 창업했는데 이제 글로벌 제약사에 기술 이전을 하게 돼 기쁩니다."
제약사 존슨 앤 존슨의 자회사인 얀센 바이오텍에 2조 2400억 원 규모의 항암 후보 물질 기술 이전 협약을 맺어 연말 잭팟을 터뜨린 김용주 대표는 26일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들이 빨리 임상에 들어가도록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말했다. 이번에 이 회사의 기술이전 규모는 국내 기업의 단일약물 실적 가운데 역대 최대여서 바이오업계의 새 역사를 썼다.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2일 얀센 바이오텍과 항암후보물질 LCB84(Trop2-ADC)의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LCB84는 레고켐바이오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술과 지난 6월 이탈리아 메디테라니아로부터 기술을 도입한 Trop2 항체가 적용된 ADC항암제 약물이다.
이번 계약으로 레고켐바이오는 선급금 1억 달러(1300억 원 규모)와 단독개발 권리행사금 2억 달러(2600억 원 규모), 개발과 허가 및 상업화의 경우 발생하는 단계별 마일스톤을 포함하면 최대 17억 달러(2조 2600억 원 규모)를 받게 된다. 순매출이 발생하는 경우 로열티는 별도로 지급받는다.
양 사는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 2상을 공동진행하게 되고 단독개발 권리행사 이후에는 얀센이 전적으로 임상개발과 상업화를 책임지게 된다. 이번 계약으로 레고켐바이오는 얀센에 LCB84의 전 세계 개발, 상용화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게 된다.
LCB84는 다른 경쟁약물과 달리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잘린 형태의 Trop2 항원을 타깃 한다는 차별점을 갖는다. 전 임상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암종에 걸쳐 차별화된 안전성 및 효능데이터를 나타내며 Trop-2 ADC로서 LCB84의 가능성을 보여준 바 있다.
레고켐바이오에 의하면 이번 계약을 포함해 그동안 이 회사의 기술이전 누적 규모는 13건에 8조 7000억 원에 이른다. 현재 이번 후보물질을 이을 4종의 ADC후보물질이 확보된 상태로 2024년과 2025년에 임상단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 대표는 "레고켐의 첫 단독임상개발 ADC약물인 LCB84에 대해 얀센과 협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지속해서 글로벌 임상개발 역량 강화 및 후속 ADC프로그램들의 임상단계 진입을 가속화시키겠다"라고 말했다.
◇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레고켐바이오는 2006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위치한 LG화학(구 LG생명과학)에 근무하던 핵심인력이 나와 김용주 대표를 중심으로 창업한 회사이다. 2013년 코스닥 시장에 진입했다.
김 대표는 과거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가능성 하나로 창업을 했고 투자 가치가 있다는 확신에 신약개발에 뛰어들었다"면서 "한 가지에 집중하고 확신이 서면 자신 있게 밀고 나간다. 한국판 길리어드를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신약개발 소신을 밝힌 바 있다.
이 회사는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에서 시작, 현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인 둔곡에 신사옥을 짓고 2021년 가을 이전했다. 직원은 140여 명으로 대전 출신이 아닌 판교와 수도권에서도 온 이들도 다수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산업계는 투자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바이오기업들의 코스닥, 코넥스 시장 진입 시 기술성 평가도 깐깐해지며 고배를 마신 기업들도 다수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파이프라인에 주목하며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다.
'오늘의 핵심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확정안 발표 (14) | 2023.12.26 |
---|---|
'전세사기특별법' 내일 국토위 안조위 통과 전망 (18) | 2023.12.26 |
유정복, 1억원 출생정책 아이드림 (21) | 2023.12.26 |
한동훈, 총선 불출마 선언 (20) | 2023.12.26 |
LGU+ “멤버스 앱 문화 혜택 이용자 200만명”경축 (21) | 2023.12.26 |